안녕하세요 여행축입니다.

 

5G 망 설치가 아직 부족해

5G가 잘 안 터져 답답하시죠?

 

 

참고 : https://pixabay.com

 

 

LTE 요금제보다 요금도 비싼데, 

불만이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.

 

그럼 오늘은 요즘 이슈사항인

5G 폰 LTE 요금제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추가로 각 통신사별 유의사항도 기재하였으니 참고해 주세요.

 

 

용어 정리


이 글을 보며 궁금할 만한 용어에 대해 정리하였으니 참고해 주세요.

 

- 공시 지원금 : 핸드폰 출시 가격에서 일부를 지원받는 제도

    시기별로 정책(공시 지원금) 지원금이 다름

- 선택 약정 : 12 or 24개월 중 선택한 기간 동안 요금할인을 받는 제도

    본인 사용 기본 요금제 대비 25% 할인(더 낮은 요금제로 변경 시 위약금 발생)

- 확정 기변 : 통신사에서 기기변경 사실을 전산상으로 등록 또는 알리는 행위

- 자급제폰 : 공기계를 의미하며 구입 후 원하는 통신사에서 개통하여 사용하는 방식

 

 

5G 자급제폰 5G -> LTE 요금제 변경 방법


 

참고 : https://pixabay.com

 

 

1. 대리점에서 5G 요금제로 계통

2. LTE 폰 준비

3. LTE 폰에 5G 폰에서 빼낸 유심칩 삽입

4. LTE 폰 2~3회 재부팅
(초기 인증 실패 알림 떠도 2~3회 재부팅)

5. LTE 폰에 유심 기변 완료 알림 확인

6. 통신사 어플 or 고객센터에 LTE 요금제로 변경

7. 요금제 변경 완료 문자 확인

8. 요금제 변경 후 LTE 폰의 유심을 5G 폰에 재삽입

9. 5G 폰 2~3회 재부팅
(초기 인증 실패 알림 떠도 2~3회 재부팅)

10. LTE 통신 사용 가능 여부 확인 후 이용

 

선택 약정이나 공시 지원금이 있는 약정 폰이 아니기 때문에

구입 즉시 변경 가능합니다.

 

 

5G 약정 폰(선택 약정 / 공시 지원금) 5G -> LTE 요금제 변경 방법


약정 폰은 온, 오프라인 대리점 또는 직영점에서 

약정을 걸로 지원을 받아 구입한 폰을 말하는 데요. 

 

자급제 폰과 달리 약정 폰의 경우에는 

아래와 같이 전제조건이 있습니다.

 

 

참고 : https://pixabay.com

 

 

전제조건

선택 약정 : 약 3~4개월 이후 변경 
계약 당시 요금제 유지

공시 지원금 : 약 6개월(186일) 이후 변경
계약 당시 요금제 유지

 

일정기간 계약 요금제를 유지해야 됩니다.

위 조건을 미충족 할 경우 위약금이 발생합니다.

 

그럼 이제 통신사별 유의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통신사별(SKT, KT, LG U+) 5G 스마트폰 LTE 요금제 변경 시 유의사항

5G 스마트폰을 LTE 요금제 변경하는 방법은

 5G 자급제폰 5G -> LTE 요금제 변경 방법 동일하니 참조해 주세요.(LG U+ 는 일부 다름)

통신사별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.


 

참고 : SKT 기업 CI

 

 

SK(공시 지원금 개통자만 해당)

19년 12/2 이전 개통 시

위약금이 발생하지 않음

 

19년 12/2 ~ 20년 6/30 사이 개통 시

5G 요금제보다 낮은 LTE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 

공시지원 차액금이 위약금으로 발생

 

20년 7월 이후 개통 시

45,000원 이하 LTE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

공시지원 차액금이 위약금으로 발생

 

※ 선택 약정은 3~4개월 후 변경해도 별도 위약금 발생하지 않음(통신사별로 기본 약정기간 상이)


 

참고 : KT 기업 CI

 

 

KT(공시 지원금 개통자만 해당)

20년 9월 이후 개통 시 

47,000원 이하 LTE 요금제로 변경할 경우

공시지원 차액금이 위약금으로 발생

 

※ 선택 약정은 3~4개월 후 변경해도 별도 위약금 발생하지 않음(통신사별로 기본 약정기간 상이)


 

참고 : LG U+ 기업 CI

 

 

LG U+(공시 지원금, 선택 약정 개통자 동일)

LG U+의 경우에는 5G에서 LTE 요금제로 변경 시 조금 까다롭습니다.

우선 정상 해지된공기기가 필요합니다.

 

정상해지 된 공기기에 사용하던 5G 유심칩을 넣고

LG U+ 직영점이나 대리점에서 LTE 공기기로 확정 기변을 합니다.

(5G 폰 -> LTE 폰으로 기변 사실을 전산상에 등록)

 

확정 기변 후에 지점이나 고객센터를 통해 LTE 요금제로 변경합니다.

요금제 변경 시 대리점이나 직영점은 내용을 모르는 경우도 있고

변경을 꺼려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권장드리지 않습니다.

 

이후 5G 폰에 유심을 재 삽입해 이용하면 됩니다.

 

단 기존 5G 폰의 소유권을 포기한 상태라

5G 폰은 전산상에 중고폰이 된 상태이고요.

 

5G 폰 분실 시 분실신고가 불가하며,

보험가입이나 중고폰 보상 프로그램 실효성이 없습니다.


여기까지 5G 폰 LTE 요금제 변경 방법과 통신사별 유의사항에 알아봤는데요.

한 번 정독한다면 무리 없이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.

 

엄청 어려운 것은 아니더라고요.

 

이상

 

5G LTE 변경, 통신사별(SKT, KT, LG U+) 5G 폰 LTE 요금제 변경 방법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

 

모두 원하시는 요금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.

 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